주정차 위반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 방법 3가지


요즘 거리를 돌아다니다가 인도나 차도에 무분별하게 세워져있는 전동 킥보드를 보면 한숨이 나올때가 많습니다. 통해에 방해를 주기도 하고 때로는 너무 위험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업체별, 지역별 주정차 위반 전동 킥보드를 신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를 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해당 업체에 바로 연락해서 신고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해당 지자체에 민원을 넣는 것입니다. 요즘은 업체에 책임을 많이 지게하는 추세라 업체로 바로 신고하면 처리해준다고 하는데, 만약 반응이 별로 없거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지자체에 민원을 넣어 견인처리하거나 업체에 벌금을 물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동 킥보드 업체에 신고하는 방법


불법으로 주정차되어있거나 바닥에 누워있는 등 엉망으로 놓여있는 전동 킥보드를 발견하면 주변 위치가 잘 보이게 사진을 찍은 후, 킥보드의 개별 바코드 등 식별 코드를 함께 찍어서 해당 업체의 고객센터에 신고하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아래 업체들을 참고하면 되는데 지역마다 운영하는 업체가 다르기때문에 킥보드에 적힌 업체들의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참고하여 전동 킥보드 불편시고를 하시면 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업체가 카카오톡을 통해서도 '불법 주정차 신고'나 '기기 이동 신청'을 받고 있으니 이걸 이용하면 조금 더 편리합니다. 


업체별 전동 킥보드 불편 신고


- 알파카 : 1661-6455

- 씽씽 : 1670-3737

- 다트 : 1800-7492

- 킥고잉 : 1800-7492

- 스윙 : 1688-4356

- 지쿠터 : 1833-5748



전동 킥보드 견인 구역


전동 킥보드가 즉시 견인 가능 구역이나 일반 견인 구역에 주차되어있거나 아무렇게나 널부러져 있다면 지자체에 민원신고를 하면 견인 조치됩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견인비용과 보관비용이 업체에 부과되기 때문에 전동 킥보드 민원으로 인해 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업체측에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전동 킥보드 견인 비용 : 4만원

✏️ 전동 킥보드 보관 비용 : 30분당 700원


1) 즉시 견인 구역

-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차도 및 자전거 도로

- 지하철역 출입 시 통행에 방해가되는 전면 5m 이내 구역

- 버스정류소 및 택시 승강장 주변 5m 이내 구역

- 횡단보도 주변 3m 이내 구역

- 점자 블록 위, 교통약자 엘레베이터 진입로 주변 등 


2) 일반 견인구역 

: 전동킥보드 주차구역 외 전 구역


지자체별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 방법


현재 전국 모든 지역에서 킥보드 불법 주차 신고를 받고 있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몇몇 지자체에서만 별도의 신고 방법을 운영하고 있는 중입니다. 혹시 아래에 정리해둔 지역이 아닐 경우 구청이나 시청의 교통관련 부서로 민원을 넣거나 '안전신문고앱'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1)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경기도를 비롯한 울산광역시 등 몇몇 지자체에서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를 할 수 있는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불편 발생 위치, 현장 사진(킥보드와 주변 환경이 함께 보이도록 찍어서), 업체명, 불편 내용을 기재하여 신고하면 해당업체에 통보하여 수거 지시를 하거나 지역에 위치한 견인 업체를 통해 견인된다고 합니다. 

다만 헬멧 미착용, 무면허운전, 2인 탑승 등의 민원은 경찰서 소관이므로 해당 채널의 신고대상은 아니고 경찰관련 부서와 민원을 넣어야 합니다. 

- 성남시 오픈채팅방 : 주차지원과 주차행정팀

- 남양주시 오픈채팅방 : 자동차관리과 

- 울산광역시 : 스마트도시과 

- 하남시 : 도로관리과 자전거팀

- 용인시 : 교통정책과


2)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 카카오톡 채널

- 전주시

- 정읍시

- 여수시

위에 기재한 도시 외에도 전동 킥보드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존재하는 지자체가 있을 수도 있으니,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은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문의해보면 좋습니다. 



3) 전동 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 사이트

마지막으로 전동 킥보드 불편신고 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들이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직접 신고를 접수하고 결과 확인까지 가능합니다. 아래 예시 지자체외에도 관련 사이트를 운영하는 지자체가 있을 수 있으니 본인이 살고있는 지역의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전동킥보드 불편신고를 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아직 많은 지역에서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지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킥보드로 인한 불편이 증가하고 관련 사고가 연일 발생하는 시점에서 조금 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설 킥보드 업체는 나몰라라하고 지자체도 손을 놓고 있다면 시민의 불편과 안전은 누가 책임질 수 있을까요? 조금 더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질 필요성이 있고, 제도 역시 뒷받침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동킥보드 불법 주정차 위반 신고


Previous Post Next Post